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156

[error] node fileName.js 실행 오류. 'MODULE_NOT_FOUND' terminal에서 node [fileName].js를 실행시켰는데 다음과 같은 에러가 났다. module이 없으니 npm install로 모듈을 설치하면 된다. npm install 2023. 6. 15.
[window] 윈도우에서 디스크 사용량 확인 방법 윈도우에서 디스크 사용량 확인 방법은 다음과 같다. 검색에서 diskmgmt.msc 입력한다. 디스크 관리 프로그램으로 연결되며 용량 확인 가능하다 2023. 6. 15.
[ubuntu] 명령어: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 찾기 현재 위치에서 파일 개수를 찾아야할 일이 있다. 다음 명령어를 이용한다. ls -l | grep ^- | wc -l 2023. 6. 15.
[javascript] DB컬럼에 여러 값을 넣고 싶을 경우 JSON.stringfy() 데이터 유형이 문자열인 DB 컬럼에 여러개의 값을 넣고 싶을 경우 JSON.stringfy()를 사용한다. JSON.stringfy()는 JavaScript 값이나 객체를 JSON 문자열로 변환하기에 데이터 유형이 문자열인 DB컬럼에 저장이 가능해진다. const arr = ['안녕하세요', '반갑습니다', '환영합니다']; let result = JSON.stringfy(arr); 2023. 6. 12.
[error] window 10 포맷 '새 파티션을 만들거나 기존 파티션을 찾을 수 없습니다' 바이오스에 접근한 후 usb 부팅 우선순위 설정을 했습니다. 그리고 windows 설치 프로그램에서 드라이브를 선택하고 '다음' 버튼을 눌렀는데 '새 파티션을 만들거나 기존 파티션을 찾을 수 없습니다' 문구가 뜨며 진행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럴 경우 'shift + f10'을 누릅니다. 명령 프롬프트 창이 뜨게 됩니다. 다음 순서로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Diskpart 버전 정보가 나옵니다.diskpart# 디스크에 대한 정보가 나옵니다.list disk # 디스크 0번을 선택하는 의미입니다.sel disk 0# 선택한 디스크 0번 용량 크기에 대해서 모두 사용 가능하도록 만들어줍니다.clean명령 프롬프트를 닫습니다. Windows 설치 프로그램 창.. 2023. 6. 9.
[error] Y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merge: git pull을 받을 때 에러가 생겼다. error: Your local changes to the following files would be overwritten by merge 현재 소스코드와 git에 올라가 있는 코드의 충돌로 인해 생긴 에러이다.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 git stash를 사용한다. : git 현재 상태를 안전한 곳에 넣어둔다고 보면 된다. 1) 현재 소스파일의 변경 소스 내용을 스택에 넣는다. git stash 2) git에 올라가 있는 소스파일을 받아온다. git pull origin main 3) 변경 소스 내용을 적용 후, 스택에서 제거 한다. git stash pop 2023. 5. 25.
쿼리 정리 사이트 쿼리 작성 후 쿼리 정리를 하고 XML에 올려야 다른 사람이 보기도 편하고 나중에 본인이 보기도 편하다. 다음은 필자가 자주 사용하는 쿼리 정리 사이트이다. https://www.dpriver.com/pp/sqlformat.htm Instant SQL Formatter www.dpriver.com 2023. 5. 23.
[정렬 알고리즘] 선택정렬(Selection Sort), 삽입정렬(Insertion Sort) 정렬 알고리즘에는 7가지가 있다. 선택정렬, 삽입정렬, 버블정렬, 병합정렬, 힙정렬, 퀵정렬, 기수정렬 그 중 선택정렬과 삽입정렬에 대해 알아보자. 1. 선택정렬(Selection Sort) : 주어진 리스트에서 값을 선택해서 나머지 값들과 비교하여 순서대로 값을 정렬하는 알고리즘이다. 방법 주어진 리스트 중에 처음 값을 최소값이라고 지정한다. 그 이후 값과 비교하며 최소값을 찾는다. 최소값을 맨 앞에 위치한 값(i번째 값)과 교체한다. 처음 for문에서 값 하나를 증가시킨다. 나머지 리스트를 같은 방법으로 교체한다. private static void selectionSort() { for (int i = 0; i < n-1; i++) { int min = i; for (int j = i+1; j < .. 2023. 5. 21.

반응형
반응형